분류 전체보기 (552) 썸네일형 리스트형 [崔承喜1931伐橋] 1.伐橋公演 1931年12月6日、崔承喜は全羅南道の筏橋(ボルギョ)で舞踊公演を行った。 劇場は「伐橋倶楽部」だった。 崔承喜の伐橋公演が知られたのは今回が初めてだ。 木浦と光州の公演を調査していたところ、伐橋公演が言及された新聞記事が偶然発見されたのだ。 1931年11月24日付の「東亜日報(3面)」が地域の集まりを紹介する「会合」の欄に「崔承喜女史舞踊会12月6日伐橋倶楽部で開催」すると短く報道したが、この短信は12月5日の光州帝国館>公演報道と並んで載っていた。 崔承喜は11月23日京城の公会堂で養賢女学校の後援公演を行った後、鳥致院(24日、日出館)、清州(25日、桜座)、大田(26日, 大田座)、全州(29日, 全州劇場)、群山(30日, 群山劇場)、木浦(12月4日, 木浦劇場)、光州(5日, 帝国館)の公演に続いて伐橋でも公演を行ったのだ。 伐橋公演はこの湖南巡回公演の最後のプログ.. [최승희1931벌교] 1. 벌교 공연 1931년 12월6일 최승희는 전남 벌교에서 무용공연을 했다. 극장은 벌교구락부>였다. 최승희의 벌교 공연이 알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목포와 광주의 공연을 조사하던 중에 벌교 공연이 언급된 신문 기사가 우연히 발견된 것이다. 1931년 11월24일자 동아일보(3면)>가 지역 모임을 소개하는 회합> 난에 “최승희 여사 무용회 12월6일 벌교구락부에서 개최”한다고 짤막하게 보도했는데, 이 단신은 12월5일의 광주 제국관> 공연 보도와 나란히 실려 있었다. 최승희는 11월23일 경성의 공회당에서 양현여학교 후원공연을 가진 후, 조치원(24일, 일출관), 청주(25일, 사쿠라좌), 대전(26일, 대전좌), 전주(29일, 전주극장), 군산(30일, 군산극장), 목포(12월4일, 목포극장), 광주(5일, 제.. <연금술사> 후원회원을 모집해요. 광주의 민중가수 김태훈-안혜경 선생은 30년 이상 풍물과 가창으로 전남-광주 지역에 잘 알려지신 분들입니다. 저는 작년 4월 이원영 선생과 함께 광주 동명동의 문화공간 뜨락>을 방문, 이분들의 연주를 처음 듣고 감탄한 나머지, 9월 민예총 사무총장이신 강욱천 선생과 협의해서 이분들이 서울 인사동 조각배들의 노래> 콘서트에 초청되시도록 주선한 바 있습니다. 올해는 김태훈 선생이 작곡을 시작하셔서 벌써 20여곡의 창작곡을 연습/녹음 중이라고 합니다. 그중 한 곡이 연금술사>입니다. ‘연금’ 받으면 ‘술’을 ‘사’라는 뜻이라고 하네요.^^ 경쾌하고 재미있는 곡입니다. 물이 들어오니까 배를 띄워야 하죠. 김태훈-안혜경 선생이 연금술사>라는 새이름으로 본격적인 전국 연주활동을 시작하신다고 합니다. 탄핵되고 .. [宝塚1935公演] 18.結び言葉 崔承喜が1933年3月に再び東京に渡り舞踊活動を再開した当時、社交ダンスとレビュー、そして映画の爆発的な盛行で日本の芸術舞踊界は存立根拠を喪失していた。 1910年代に新舞踊を始めた1世代舞踊家たちはすでに構築した基盤で危機状況にもかかわらず舞踊活動を継続することができたが、1世代の大家たちから新舞踊を学んだ新進舞踊家たちは生活と舞踊活動のための根拠を用意することが難しい状況だった。 崔承喜は1934年9月に第1回東京発表会に続き、1935年4月に石井舞踊団から独立した後、このような危機状況で芸術舞踊を続けるための方案を講じ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 崔承喜が採択した方法は、概して師匠から学んだ方法だった。 第一に、東京で定期的な芸術舞踊公演を続けながら、これを土台に持続的に地方公演を遂行することだった。 崔承喜は1935年10月22日に第2回東京公演、1936年9月22-24日の第3回.. [다카라즈카1935공연] 18. 맺음말 최승희가 1933년 3월 다시 도쿄로 건너가 무용 활동을 재개했을 당시, 사교댄스와 레뷰, 그리고 영화의 폭발적인 성행으로 일본의 예술무용계는 존립근거를 상실하고 있었다. 1910년대에 신무용을 시작한 1세대 무용가들은 이미 구축한 기반으로 위기 상황에도 불구하고 무용 활동을 이어갈 수 있었으나, 1세대의 대가들로부터 신무용을 배운 신진무용가들은 생활과 무용활동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기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최승희는 1934년 9월에 제1회 도쿄발표회에 이어 1935년 4월에 이시이무용단에서 독립한 후에 이같은 위기 상황에서 예술무용을 계속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했다. 최승희가 채택한 방법은 대체로 스승으로부터 배운 방법이었다. 첫째, 도쿄에서 정기적인 예술무용공연을 계속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으.. [宝塚1935公演] 17.芸術アイデンティティ 1930年代に迫った芸術舞踊界の危機に対処するための崔承喜の戦略を4つに分けてみた。 (1) 社交ダンスとは距離を置きつつ、(2)映画出演の機会を活用し、(3)レビューとは積極的に交流しながら、(4)芸術舞踊公演を続けていくというものだった。 この中でレビューとの交流は師匠石井漠と差を見せた方案だが、これが崔承喜の危機対応戦略で重要だったと見られる。 芸術舞踊家としての広報と舞踊活動の持続のための収入に肯定的な影響を与えたためだ。 1935年11月9-10日の宝塚大劇場公演と野外舞踊撮影大会で、当時23歳だった崔承喜は自身と年齢帯が同じ男性大卒者初任年俸の1.6倍に達する収益を得て、それと共に宝塚少女歌劇団と肩を並べ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全国的な名声も得ることができた。 一方、崔承喜公演を通じて宝塚少女歌劇団もイメージ向上に助けを得ただろう。 創立者の小林一三は、少女歌劇団が大衆的な娯.. [다카라즈카1935공연] 17. 예술 정체성 1930년대에 닥친 예술무용계의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최승희의 전략을 4가지로 살펴보았다. (1) 사교댄스와는 거리를 두되, (2) 영화 출연 기회를 활용하고, (3) 레뷰와는 적극 교류하면서, (4) 예술무용 공연을 계속해 나간다는 것이었다. 이중 레뷰와의 교류는 스승 이시이 바쿠와 차이를 보였던 방안인데, 이것이 최승희의 위기 대응전략에서 중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예술무용가로서의 홍보와 무용활동 지속을 위한 수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1935년 11월9-10일의 다카라즈카 대극장 공연과 야외무용 촬영대회로, 당시 23세였던 최승희는 자신과 연령대가 동일한 남성 대졸자 초임 연봉의 1.6배에 달하는 수익을 얻었고, 그와함께 다카라즈카소녀가극단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다는 전국적인 명성.. 【宝塚1935公演】16.宝塚劇場アトラクション 崔承喜が1935年11月9日、レヴィ公演団である宝塚少女歌劇団の大劇場公演を断行したのは、公演収益と広報効果の極大化を狙ったためだろう。 当時、宝塚は日本人口が7千万人だった時代にも年間1千万人の観光客が訪問する最大観光地であり、したがって宝塚大劇場公演は日本全域を相手に公演する効果があったためだ。 しかし、彼女は宝塚大劇場公演と野外舞踊撮影大会を後日、再び試みたことはない。 おそらく1936年以後、崔承喜はすでに日本最高の芸術家として定着し、芸術舞踊公演だけでも十分な収入と広報効果を継続することができたためだろう。 それなら、崔承喜はその後、レビューとの交流を中断したのだろうか? そうではない。 1935年11月9-10日の宝塚大劇場公演後も、崔承喜は少女歌劇団との交流を続けた。 例えば1936年1月11日付の『京都日出新聞(1面)』の公演広告文によると、崔承喜は1月13日からエノ.. 이전 1 2 3 4 ··· 69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