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승희1935다카라즈카

[다카라즈카1935공연] 18. 맺음말

최승희가 19333월 다시 도쿄로 건너가 무용 활동을 재개했을 당시, 사교댄스와 레뷰, 그리고 영화의 폭발적인 성행으로 일본의 예술무용계는 존립근거를 상실하고 있었다.

 

1910년대에 신무용을 시작한 1세대 무용가들은 이미 구축한 기반으로 위기 상황에도 불구하고 무용 활동을 이어갈 수 있었으나, 1세대의 대가들로부터 신무용을 배운 신진무용가들은 생활과 무용활동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기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최승희는 19349월에 제1회 도쿄발표회에 이어 19354월에 이시이무용단에서 독립한 후에 이같은 위기 상황에서 예술무용을 계속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했다. 최승희가 채택한 방법은 대체로 스승으로부터 배운 방법이었다.

 

첫째, 도쿄에서 정기적인 예술무용공연을 계속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지방공연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최승희는 19351022일에 제2회 도쿄공연, 1936922-24일의 제3회 도쿄공연, 1937927-29일의 제4회이자 도구고별공연 등의 연례 도쿄공연을 계속했고, 도쿄공연 이후에는 일본전역과 조선, 만주, 타이완 등으로 지방공연을 진행했다.

 

둘째, 영화에 출연해 예술무용의 존재감을 알리고 무용가 자신을 홍보해 나가는 방법이었다. 최승희는 1936년의 <반도의 무희>1938년의 <대금강산보>에 출연해 자신의 반생을 소개하고, 창작무용을 홍보해 나갔다. 이 영화들의 작품성은 그다지 높지 않았지만, 최승희의 인기가 상승함에 따라 장기상연될 수 있었고, 이는 최승희가 대중의 오락물을 대량생산하기 시작한 영화계와 교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셋째, 최승희는 1920년대 후반부터 성행하기 시작해 1930년대에는 극성기에 달한 사교댄스와는 거리를 두었는데, 이 역시 스승 이시이 바쿠의 방침을 따른 것이었다. 사교댄스는 원래 공연예술이 아니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일본에서의 사교댄스는 서양과는 달리 에로그로넌센스라는 대중문화의 특성을 짙게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넷째, 최승희는 레뷰와 적극적으로 교류했다는 점에서 스승과는 차별적인 전략을 채택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시이 바쿠도 191611월부터 19172월까지 다카라즈카소녀가극단의 무용교사를 역임한 적이 있고, 유럽과 미주 순회공연을 떠나기 전까지(1917-1922) 아사쿠사 오페라의 일원으로 활동한 바도 있지만, 순회공연에서 돌아온 1924년부터는 레뷰와 전혀 교류하지 않았고, 예술무용 공연에만 전념했었다.

 

 

그러나 최승희는 레뷰공연단이 다카라즈카소녀가극단과의 교류와 협력을 추진했고, 이를 통해 수입과 홍보의 양면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는데, 이 리서치노트에서 밝힌 것처럼, 그 시발점이 1935119일의 다카라즈카 대극장 공연과 1110일의 야외무용 촬영대회였다.

 

최승희는 다카라즈카 대극장 공연과 야외무용 촬영대회를 통해 단시간에 거액의 공연수익을 올렸을 뿐 아니라, 일본 전역에서 다카라즈카에 모여든 관광객들에게 자신의 무용을 홍보할 수 있었다. 최승희의 공연과 촬영대회는 오락무용의 다카라즈카소녀가극단에게도 예술무용과의 교류를 홍보할 기회가 되었고, 신진무용가였던 최승희에게는 무용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수입과 홍보의 기회를 제공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함께 최승희는 소녀가극단의 스타들과 함께 미디어에 등장하는 것도 꺼리지 않았다. 19357월호 <주부의벗(主婦之友)>에는 미나미 사토에(南里枝)와 함께 수영복 홍보에 등장했는가 하면, 193512월호 <모던일본(モダン日本)>에는 최승희가 쇼치쿠의 스타 미즈노에 타키코(江瀧子)와 함께 인터뷰 기사에 등장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최승희의 레뷰 교류는 외형상의 교류였던 점은 지적해 두어야 할 것이다. 이같은 교류를 통해 단행된 최승희의 공연의 연목들은 철저하게 예술무용작품이었기 때문이다.

 

결국 최승희는 다카라즈카 대극장 공연과 야외무용 촬영회 이후에도 자신의 예술무용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레뷰와의 교류를 이어나갔고 이같은 교류는 최승희가 1938년 유럽과 미주공연에 나서기 전까지 계속되었다. (jc, 2025/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