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승희1931벌교

(2)
[崔承喜1931伐橋] 1.伐橋公演 1931年12月6日、崔承喜は全羅南道の筏橋(ボルギョ)で舞踊公演を行った。 劇場は「伐橋倶楽部」だった。 崔承喜の伐橋公演が知られたのは今回が初めてだ。 木浦と光州の公演を調査していたところ、伐橋公演が言及された新聞記事が偶然発見されたのだ。 1931年11月24日付の「東亜日報(3面)」が地域の集まりを紹介する「会合」の欄に「崔承喜女史舞踊会12月6日伐橋倶楽部で開催」すると短く報道したが、この短信は12月5日の光州帝国館>公演報道と並んで載っていた。  崔承喜は11月23日京城の公会堂で養賢女学校の後援公演を行った後、鳥致院(24日、日出館)、清州(25日、桜座)、大田(26日, 大田座)、全州(29日, 全州劇場)、群山(30日, 群山劇場)、木浦(12月4日, 木浦劇場)、光州(5日, 帝国館)の公演に続いて伐橋でも公演を行ったのだ。 伐橋公演はこの湖南巡回公演の最後のプログ..
[최승희1931벌교] 1. 벌교 공연 1931년 12월6일 최승희는 전남 벌교에서 무용공연을 했다. 극장은 벌교구락부>였다. 최승희의 벌교 공연이 알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목포와 광주의 공연을 조사하던 중에 벌교 공연이 언급된 신문 기사가 우연히 발견된 것이다. 1931년 11월24일자 동아일보(3면)>가 지역 모임을 소개하는 회합> 난에 “최승희 여사 무용회 12월6일 벌교구락부에서 개최”한다고 짤막하게 보도했는데, 이 단신은 12월5일의 광주 제국관> 공연 보도와 나란히 실려 있었다.  최승희는 11월23일 경성의 공회당에서 양현여학교 후원공연을 가진 후, 조치원(24일, 일출관), 청주(25일, 사쿠라좌), 대전(26일, 대전좌), 전주(29일, 전주극장), 군산(30일, 군산극장), 목포(12월4일, 목포극장), 광주(5일,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