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륙14학교

[대륙17학교] 39. 박환 강연 (2) 삼일운동과 임시정부

미주 <대한인국민회>의 무형정부(1912.11.), 연해주 <권업회>의 대한광복군정부(1914), 베이징 <신학혁명당>의 민족대동회의(1917.7.), 연해주의 대한국민의회(1919.2.) 등은 모두 삼일만세운동(1919.3.)의 전에 시도된 임시정부들이었다. 대한제국이 망하고 난 직후부터 독립의 열의는 뜨거웠고, 새로운 국가와 새로운 정부에 대한 욕구가 치솟고 있었다는 말이다.

 

삼일만세운동이 시작되자 이같은 열의와 욕구는 더욱 뜨겁게 타올랐다. 삼일운동은 31일에 시작되었으나 적어도 두 달 이상 계속되었는데, 그러는 동안에도 임시정부 수립을 촉구하거나 임시정부를 제안하는 전단들이 뿌려지곤 했다.

 

191933일 발행된 <조선독립신문>은 곧 임시정부가 조직되고 임시 대통령을 선거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조선독립신문>은 일제강점기에 서울에서 발행되던 지하신문으로 삼일운동의 핵심 지도자들이었던 천도교 인사들이 발행했고, 인쇄는 수송동 소재 보성사에서 이뤄졌다.

 

 

1호 창간호는 보성사 사장 이종일과 천도교 감독 김홍규의 이름으로 31일 오전에 1만부를 인쇄해 살포했고, 삼일운동에 불을 질렀던 신문이었다.

 

33일의 <조선독립신문> 2호는 임시정부 구성을 제안했고, 49일의 신문에서도 조선민국 임시정부안이 포함된 전단이 살포되었다. 이 기사는 손병희를 임시정부의 정도령으로, 이승만을 부도령으로 지명했다.

 

42일에는 조선의 종교계 인사들 약 20여명이 인천 만국공원에서 회의를 열고, 가까운 시일 안에 서울에서 국민대회를 갖고 임시정부를 선포하기로 결의했다. 여기에는 천도교와 기독교, 유교와 불교계 인사들이 광범위하게 참여했다. 이때는 이미 새로운 공화국의 헌법에 해당하는 약법을 제정했고, 이에 따르면 임시정부는 민주제와 대의제로 구성하기로 되어 있었다.

 

41613도 대표자들이 서울에서 회의를 갖고 임시정부 각료를 선출했다. 집정관 총재에 이승만, 국무총리에 이동휘가 선출되었고, 일주일 후인 423일 다시 13도 대표자 회의를 속회하고 국민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의했다. 13도 대표자 회의는 열리지 못했지만 국민대회는 예정대로 열렸고, 학생들을 중심으로 임시정부인 한성정부 수립을 알리는 전단을 뿌렸다.

 

 

비슷한 시기(417)에 평안북도에서도 신한민국 정부선언서라는 전단이 뿌려졌다. 집정관으로 러시아에서 독립운동을 하던 이동휘를 내세운 것으로 미루어 간도와 연해주 지역의 독립운동가들이 협의해서 만든 임시정부 수립안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밖에도 임시대한공화정부안, 고려임시정부안 등이 국내에서 발표되었는데, 모두 공화제 정부를 지향하는 임시정부를 제안했다.

 

삼일운동의 지도자들은 만세운동과 함께 상하이에 임시정부 수립 방안을 동시에 추진했다. 천도교와 기독교 지도자들은 현순 목사를 상하이로 파견했는데, 31일 상하이에 도착한 현순은 천도교가 제공한 2천원을 종잣돈으로 삼아 프랑스 조계 안에 독립임시사무소의 문을 열었다. 삼일운동이 시작되고 국내에서 들불 번지듯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더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상하이를 찾았고, 현순의 독립임시사무소는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임시기구 역할을 했다.

 

1919326-27일에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회의가 열렸고, 410일 임시의정원을 구성하면서 정부 수립 절차를 마련했다. 이때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함으로써 공화제 국가를 지향함을 분명히 했다. 다음날인 411대한민국 임시헌장을 반포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음을 내외에 알렸다.

 

 

상하이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내무총장으로 선출된 안창호의 노력으로 각처에서 수립된 임시정부의 통합이 시작되었다. 일제의 감시로 활동이 어려운 국내의 한성정부가 선출한 대통령(이승만)과 국무총리(이동휘)를 그대로 인정해 내각을 구성했고, 연해주에서 수립된 대한국민의회와는 정식으로 통합함으로써, 국내외에서 수립되었던 임시정부들을 거의 모두 통합해, 마침내 911일 통합된 임시정부가 발족했다. (jc, 2023/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