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호쿠2023취재

[도호쿠2023취재] 39. 최승희 탄생일 (4) 또 다른 호적과 여권 기록

4. 또 다른 호적과 여권의 기록

 

부친 최준현의 호적에 나타난 최승희의 생년월일과 숙명여학교 학적부에 기록된 첫 생년월일이 달랐다는 점이 확인됐지만, 그 이유는 짐작하기 어려웠다. 이 학적부의 생년월일이 호적과 일치되도록 수정된 이유가 무엇이었는지도 알아내기가 쉽지 않았다.

 

이때 호적과 학적부의 둘 중 하나의 생년월일이 잘못 기록되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처음으로 떠올랐다. 최승희는 자신의 진짜 생일(19111224)을 구술했고, 담임선생이 이를 받아 적었지만, 후일 이 생일이 호적상의 생일과 다르다는 점이 발견되자, 호적을 근거로 이를 1124일로 수정했을 것이라는 것이 그나마 가장 합리적인 추론이었다.

 

이 추론을 확인할 방법은 한 가지밖에 없었다. 학적부 이후의 다른 공문서 기록을 찾아서 생일이 어느 쪽에 일치하는 지 확인해 보는 것이었다. 필자는 20185월 도쿄 소재 일본 외무성(外務省) 외교사료관(外交史料館)을 방문했다. 최승희의 여권기록을 조사하기 위해서였다.

 

 

여권에는 생년월일이 기재되어야 하고, 이 날짜를 확인하기 위해 증빙서류를 제출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여권상의 생년월일이 확인되면 그것을 곧 호적의 생년월일로도 볼 수 있다.

 

외무성 외교사료관에는 여권을 발급받기 위해 제출한 신청서와 증빙서류가 남아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이 서류들은 이미 오래 전에 폐기되었거나 유실되었다고 했다. 다만 여권발급 신청자들을 시기별로 정리해 둔 신청자 목록만 마이크로필름 형태로 남아 있었다.

 

이 기록에 따르면 최승희가 여권을 신청한 날짜는 1937910일이었다. 세계 순회공연을 앞두고 해외여행에 필요한 여권을 신청한 것이다. 남편 안필승(=안막)에게 발급된 여권번호는 340978, 최승희의 여권번호는 340980번이었다. 그러나 딸 안승자의 여권번호난은 비어 있었다. 딸의 여권 신청은 거부된 것이다. 최승희가 해외공연 중에 타국으로 망명할 가능성을 염려해 취한 조치였을 것이다. 딸 안승자는 최승희의 망명을 막기 위한 인질이었던 셈이다.

 

 

여권 신청 기록에 나타난 두 사람의 본적은 경성부 익선정 56-8번지였고, 그 밑에 각 사람의 생년월일이 기재되어 있었다. 안막의 생일은 메이지43(=1910) 46, 최승희의 생일은 메이지44(=1911) 1224일이었다. 최승희의 학적부에서 지워졌던 1224일이 여권신청 기록에 다시 등장했다.

 

이는 최승희가 여권발급을 신청했던 1937910일 당시 호적상 생일도 19111224일이었다는 뜻이다. 신청서와 호적의 생년월일 기록이 일치하지 않았다면, 이것만으로도 여권발급이 거부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신청서가 접수되고 여권이 발급되었다는 것은, 여권발급 신청서의 생년월일과 호적상의 생년월일이 일치했다는 뜻이다.

 

최승희가 외무성 여권과에 제출한 호적등본은 부친 최준현의 호적이 아니었다. 최승희는 193159일 안필승과 결혼했고, 그 직후에 최승희는 안필승의 호적에 등재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혼인신고서를 제출했을 때에는 부친 최준현의 호적을 제출해야 했다. 그런데 최준현의 호적에는 최승희의 생년월일이 19111124, 혼인신고서에는 생년월일이 19111224일이었을 것이다.

 

아마도 그때 이 불일치가 문제가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이 문제는 최승희의 노력으로 해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부친의 호적에 기록된 생년월일이 잘못되었던 것이니, 지금이라도 바로잡아 달라고 요청했을 것이고, 생일기록을 수정하는 데에 필요한 절차를 밟았을 것이다.

 

이렇게 남편 안막의 호적기록에 생년월일이 19111224일로 수정되었기 때문에 여권을 신청할 때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수정된 호적상의 생년월일은, 숙명여학교 학적부에 처음 기재되었던, 수정되기 전의 생년월일과 일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