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쿄1934공연

[도쿄1934공연] 22. 공연2부(10) <마을의 풍작>

최승희의 도쿄 데뷔공연 2부의 4번째이자 전체에서 10번째 작품은 <마을의 풍작(豊作)>이었다. 프로그램에는 <마을의 풍작>이 다음과 같이 소개되었다.

 

10. 마을의 풍작(豊作), 반주음악은 조선의 옛곡, 편곡자는 시노하라 마사오(篠原正雄, 1894-1981), 출연자는 이시이 시즈코(石井靜子), 시바노 히사코(柴野久子), 김민자(金敏子), 카이 후지코(甲斐富士子), 카네코 카호루(金子かほる)5.

풍요로운 가을을 환영하면서 춤추는 조선 남부지방 농민들의 인상, 소박하고 소탈하고 익살스러운 맛이 가득한 작품.

 

5인의 무용수가 익살스런 동작으로 빠르게 실연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마을의 풍작>은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던 것 같다. 최승희의 도쿄 데뷔공연 직후, 신문과 잡지에 보도된 각종 평론과 비평 중에서 이 작품을 언급한 것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승희는 이 작품에 애착을 가졌던 것 같다. 1938121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커렌(Curran)극장에서 가졌던 미국 데뷔 공연에서도 이 작품을 상연했기 때문이다. 공연 당일의 재미일본인 교포신문 <니치베이(日米)신문(4)>은 최승희의 공연 레퍼토리를 소개하면서 <축제 무용(Festival Dance)>도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지 언론은 <축제무용> <마을의 풍작>을 거의 보도하지 않았고, 비평가들도 이를 평론의 소재로 삼지 않았다. 이후 최승희는 로스엔젤레스와 뉴욕에서 계속된 미국순회 공연에서는 <마을의 풍작>, 혹은 <축제무용>을 더 이상 상연하지 않았다.

 

이는 유럽 순회공연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파리와 브뤼셀과 덴하크, 마르세유와 뒤스부르크와 칸 등에서 단행한 공연에서도 <마을의 풍작>을 한 번도 레퍼토리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심지어 최승희의 사진 자서전을 보도했던 19345월호 <신여성><에헤야 노아라>, <희망을 안고서>와 같은 지명도 높은 작품 뿐 아니라, 1926년의 <세레나데>1927년의 <유모레스크>와 같은 소품까지 사진을 게재하면서 소개했지만, <마을의 풍작>은 제외했다.

 

<마을의 풍작>도 도쿄 데뷔공연이 초연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최승희의 댄소그라피(danceography)를 살펴보면 1931년의 작품 중에 <마을의 풍작>을 연상시키는 작품이 있기 때문이다. 1931110-12일 단성사에서 열린 <3회무용발표회>에서 상연된 <향토무용B: 풍년이 오면>(이하 <풍년이 오면>이다.

 

이 공연에서 최승희는 <향토무용>을 두 작품 묶어서 2부의 4번째 연목에 포함시켰는데, 첫 번째가 <향토무용A: 농촌소녀>(이하 <농촌소녀>)였고, 두 번째가 <풍년이 오면>이었다. 193127일 경성공회당에서 열렸던 <2회 작품발표무용공연회>에서도 23번째 연목에 <농촌소녀><풍년이 오면>이 포함되어 있었다.

 

 

193822일의 LA 이벨(Ibell)극장 공연에서 <풍년이 오면>은 레퍼토리에서 제외되었지만, <농촌소녀(Peasant Girl)>2부의 다섯 번째 연목으로 포함되었다. 즉 최승희는 미국순회공연 초기에 1931년의 <향토무용> 작품 2개를 차례로 시연한 것이다. 그러나 이후 뉴욕 공연에서는 <농촌소녀><마을의 풍작>을 상연되지 않았고, 이는 유럽 공연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최승희의 창작 조선무용 중에서 <농촌소녀><마을의 풍작>은 관객과 비평가들의 관심이나 주목을 끌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공연 안내 기사와 비평문에서 기자와 평론가는 물론 관객들도 이를 무시하는 편이었거나, 무시는 아니더라도, 언급은 하되 주목은 하지 않았던 편이다.

 

 

하지만 <마을의 풍작>에 대한 최승희의 애착은 강했다. 경성(1931)과 도쿄(1934)와 샌프란시스코(1938)>에서 지속적으로 상연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승희는 이 작품이 관객과 비평가들의 관심을 끌지 못한다는 점을 바로 인식하면서, 새로운 기회가 올 때까지는 이 작품의 상연을 자제함으로써 비평을 수용하는 모습도 보였다. (jc, 2024/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