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1년 12월6일 최승희는 전남 벌교에서 무용공연을 했다. 극장은 <벌교구락부>였다. 최승희의 벌교 공연이 알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목포와 광주의 공연을 조사하던 중에 벌교 공연이 언급된 신문 기사가 우연히 발견된 것이다.
1931년 11월24일자 <동아일보(3면)>가 지역 모임을 소개하는 <회합> 난에 “최승희 여사 무용회 12월6일 벌교구락부에서 개최”한다고 짤막하게 보도했는데, 이 단신은 12월5일의 광주 <제국관> 공연 보도와 나란히 실려 있었다.

최승희는 11월23일 경성의 공회당에서 양현여학교 후원공연을 가진 후, 조치원(24일, 일출관), 청주(25일, 사쿠라좌), 대전(26일, 대전좌), 전주(29일, 전주극장), 군산(30일, 군산극장), 목포(12월4일, 목포극장), 광주(5일, 제국관) 공연에 이어 벌교에서도 공연을 가졌던 것이다.
벌교 공연은 이 호남순회공연의 마지막 프로그램으로, 벌교 공연을 마친 후 최승희는 경성으로 돌아가, 12월29-31일 조선극장(인사동)에서 재만동포 후원을 위한 <무용과 영화의 밤>에 출연했다. 만주동포들을 위한 후원공연은 1932년 1월30일에도 철필구락부의 후원으로 다시 한 번 열렸는데, 이때 최승희는 토월회와 합동으로 경성공회당에서 6개 작품을 발표했다.

그런데 한 가지 이상한 점은 공연 당일(12월6일)까지는 물론 그 이후의 어떤 신문에도 벌교 공연에 대한 후속 보도가 없다는 점이었다. 신문기사뿐이 아니었다. 최승희의 벌교 공연을 언급한 문헌은 더 이상 발견된 것이 없다. 이 때문에 최승희가 실제로 벌교에서 공연을 했던 것인지 의문이 들었다. 기획되고 공고되었지만 연기되거나 취소된 것은 아니었을까?
공연이 연기되거나 취소되는 일은 자주 있었다. 1930년 8월25일로 예정되었던 최승희의 청주 공연은 “악사의 준비 미비”로 9월12일로 연기되었고, 1930년 10월30일로 기획된 대전 공연은 “주최 측의 부득이한 사정”으로 11월11일로 연기됐다. 또 1932년 5월20일로 공고되었던 인천 공연도 “회장(會場) 관계로 무기 연기”되었다가 결국 취소되기도 했었다.
신문에 공지된 공연이 취소 혹은 연기되었다면 즉각 재공지되어야 했는데, 이는 관객의 혼란을 막고 시간과 돈의 손실을 줄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31년 12월6일의 벌교 공연은 연기되거나 취소되었다는 보도가 없으므로 예정대로 이뤄졌다고 보는 게 합리적일 것이다.
벌교 공연이 실현되었는지에 대해 의구심이 들었던 것은 1930년대의 벌교가 소도시였기 때문이다. 벌교읍의 1930년 인구가 2만3천명이었고 일본인이 집중 거주했던 벌교포의 인구도 5천명 남짓이었던 벌교읍이 당시 조선의 신무용 톱스타 최승희의 공연을 유치했다는 것이 쉽게 믿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당시의 최승희는 유학에서 막 돌아온 젊은 무용가였고, 신진답게 최승희의 공연 행보는 공격적이었다. 1930년 2월1일 제1회 무용발표회를 가진 이래 벌교 공연 직전까지 그는 네 차례의 신작발표회를 경성에서 열었고, 각 발표회 후에는 지방 순회공연을 단행했다.
1931년에만도 최승희는 부산(2월17-18일), 춘천(21일), 대구(24-25일)에서 공연을 가졌고, 호남지역에서도 이리(3월1일), 전주(2-3일), 군산(4-5일), 김제(6일) 등에서 공연했다. 최승희가 전라도 공연을 가진 것은 1930년 11월9-10일의 목포 <평화관>공연 이후 두 번째였다. 이후 최승희는 정주(4월3일), 신의주(5-6일), 의주(9일), 선천(11일), 사리원(12일), 개성(14일) 등의 북선 지역에서 공연한 뒤 경성으로 돌아갔는데, 안막과의 결혼식(5월9일)이 예정되어 있었고, 곧바로 네 번째 신작무용 발표회를 준비하기 위해서였다.
1931년 9월1일 경성 단성사에서 제4회 신작무용공연을 가진 후 최승희는 다시 지방순회공연에 나섰다. 수원(9월13일), 안성(14일), 김천(16일), 대구(17일), 포항(18일), 밀양(21일), 마산(22일), 진주(23일), 통영(25일) 등의 경상도 공연에 이어 해주(10월13일), 신천(14일), 안주(20-21일), 신의주(24일), 안동(27일), 개성(30일)의 북선 공연을 가진 후에, 호남 순회공연을 이어갔던 것이다. (jc, 2022/5/22; 2025/3/28)
'최승희1931벌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崔承喜1931伐橋] 1.伐橋公演 (0) | 2025.03.29 |
---|